은퇴 코앞인 실버계층 노후대비 어떻게 할까?
은퇴를 앞든 실버세대에게 한 가지 과제가 남았다면 '남은 노후기간을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풍요롭게 보낼 수 있을까' 에 대한 것일 것이다. 은퇴를 하고 난 뒤 사라진 월 수입을 대체할 다른 수입처를 미리 마련해야 한다.
경제활동 시기에 부동산이나 주식 등으로 일정 정도의 자금을 마련한 상태라 하더라도 노후준비는 고민일 수밖에 없다. 부동산 같은 경우 세제가 강화돼 수익률이 낮아졌고 현금화가 어렵고 투자위험이 있는 등 리스크가 항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최근엔 즉시 현금화하려는 경향이 많지만 현금으로 전환한 뒤에도 이자율이 낮은 현 상황에선 유리하지 못하다. 게다가 직장인들의 경우는 퇴직금을 모아 식당을 차렸다가 기본 생활비조차 마련하기 힘들게 되어버린 경우도 부지기수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장상황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주목받는 보험상품이 바로 즉시형연금 즉시연금보험이다.
목돈을 즉시 연금으로 전환해주는 즉시연금보험
생명보험사 즉시연금보험 은 목돈을 한꺼번에 예치한 후 가입한 다음 달부터 매달 일정액의 연금을 수령하는 상품이다. 일시납으로 1000만원부터 청약 가능하다. 기존의 연금보험처럼 매월 일정금액을 내고 10년, 20년을 기다리지 않아도 돼 미처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실버세대로부터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또 은행이자율보다 높은 공시이율을 통한 수익도 기대할 수 있어 은행에 예금한 후 인출을 하는 방식보다 더 이득이다.
실제 2년 전부터 주목을 끌기 시작한 즉시연금보험이 급성장하고 있다. 2012년 3월 생명보험협회가 즉시연금보험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11개 생보사의 연간 수입보험료 추이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2조 3798억 원을 기록, 지난 2008년 3,306억 원의 7배를 웃돌았다. 노후대비를 못한 노년층들의 가입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즉시연금보험은 10년 이상 유지할 경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혜택이 가장 큰 장점이다. 연간 금융소득이 4천만 원이 넘는 경우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지만 즉시연금에 가입해 종신연금형으로 수령할 경우 매달 받는 연금은 비과세 대상이 돼 종합과세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가입액 2억원 이하일 경우)
특히 고객들로부터 많은 선택을 받고 있는 종신형즉시연금의 경우 연금 개시 이후 해약이 불가능해 재산을 둘러싼 자녀들의 다툼도 막을 수 있어 좋다.
상속 시에는 금융재산 상속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즉시연금보험은 금융자산이 많은 부유층에게 유리하다. 국민연금이나 퇴직금의 혜택이 없는 자영업자의 경우도 즉시연금이 유리하다. 부동산을 매각하며 즉시 연금에 가입하면 평생 연금이 보장된다.
직장인이나 공무원들의 경우도 퇴직하면서 연금 외에 퇴직일시금을 즉시연금보험에 가입하면 연금+즉시연금으로 풍요로운 노후생활이 가능할 것이다.
가입시는 전문자산관리사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해
즉시연금보험 가입시 주의할 점은 연금상품은 최소 10년 이상 유지하는 장기상품이기 때문에 전문가와 함께 보험사를 잘 선택해야 한다. 또 세제혜택이 최고 강점이긴 하지만 반드시 10년 이상 유지해야 한다. 종신형은 중도해지가 불가능해 상관없지만 상속형인 경우 중도해지 하면 감면받은 세금을 다시 내야한다.
즉시연금보험 전문사이트(www.justannuity.net)에서 정상급 자산관리사들이 온라인보험상담으로 국내에 있는 20여개 생보사들의 모든 즉시연금을 비교분석하여 객관성 있는 연금보험추천을 하고 있으니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굿모닝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http://www.goodmorningtoday.net/news/articleView.html?idxno=5072
'^^공간이야기 > 노후자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종합은퇴준비지수’가 ‘주의’ 수준 (0) | 2014.02.09 |
---|---|
최소한의 “노후 최저 생활비가 부부 기준 월 130만 원” (0) | 2014.02.01 |
** 부자들 은퇴자금은 “22억” (0) | 2014.01.03 |
은퇴후 적정 노후자금은? (0) | 2013.12.28 |
부자들은 은퇴 후 '적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월생활비'는 673만원(연 8079만원)이라고 답했다 (0) | 201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