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공간이야기/노후이야기

100세 시대 속담

by SL. 2013. 9. 22.
행복한 100세시대를 보내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전 생애를 걸쳐서 마찬가지이기는 하지만 특히나 노년에 기쁨이나 만족을 누리기 위해서는 보다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가뜩이나 노화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판인데, 이런저런 사회적, 경제적 변화들까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노년의 행복은 저절로 얻어지지 않는다. 다양한 측면에서 장기간의 체계적인 준비만이 노후의 행복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옛사람들의 지혜와 재치가 농축된 속담을 통해 행복한 100세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전략 몇 가지를 살펴보자.

▶100세시대에 대한 인식과 실행, 그리고 꾸준함…

① 어느 구름에서 비가 올지…
혹자는 아직도 그런다. ‘100세는 무슨… 80만 살아도 잘 사는 거지…’라고. 하지만, 100세시대는 현실이다. 평균수명은 이미 81세에 이르렀고,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망하는 연령, 즉 최빈사망연령은 어느새 85세를 넘어섰다. 

즉 돌연사, 자살, 사고사 등을 제외할 경우 이미 많은 사람들이 90세에 근접한 수명을 누리고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2020년 이후에는 최빈사망연령이 90세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청장년기의 사람들은 사실상 100세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어느 구름에서 비가 올지… 일은 되어 보아야 알지 미리 짐작하기 어렵다는 말이지만, 구름이 많으면 비는 오기 마련이다. 내 머리 위의 구름에서 비가 시작되지 않는다고 비가 오지 않는 것은 아니다. 구름이 많으면 우산을 준비해야 한다. 

내가 100세까지 살지 못살지 모르지만, 그래도 이미 100세시대는 현실이다. 100세시대에 대한 정확한 현실인식 없이는 준비도 없다. 현실을 직시하고 100세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우산을 준비해야 한다.

 



② 고기 보고 부럽거든 그물을 뜨라.
노후준비가 필요한 현실을 직시했다면, 바로 실행에 옮겨야 한다. 무슨 일이든지 실행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다. 남이 잡은 고기가 부럽거든 가서 그물을 던져야 한다. 부러워하기만 하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노후준비 역시 마찬가지다. 걱정만 한다고 노후준비가 저절로 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 국민의 65% 넘는 많은 사람들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34%라는 적지 않은 사람들이 강 건너 불구경하듯 나몰라라 하고 있다. 

그나마도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의 50% 가량이 국민연금 외에는 마땅히 다른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 준비하지 않고 있는 사람도 문제지만,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조차 준비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③ 굿 구경하려면 계면떡이 나오도록 해라.
노후준비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60세를 전후로 은퇴한다고 해도 대략 30~40년이라는 긴 시기, 그 것도 노약자로서 살아갈 준비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코 짧은 시간내에 준비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긴 시간과 인내가 필요한 것이 노후준비다. 은퇴를 임박해 준비하면 부담감만 높아질 뿐 결코 쉬이 준비할 수 없다. 젊었을 때부터 긴 시간 동안 인내심을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 

굿을 구경하려거든, 굿이 끝나고 무당이 맨 나중에 구경꾼들에게 나눠주는 계면떡을 얻어 먹을 수 있을 때까지 끝까지 하라는 것이다. 굿 구경이야 중간에 그만두면 그만이지만, 노후준비는 중간에 그만두면 죽도 밥도 안된다.

결국 노후준비는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곧바로 실행에 나서야 하며, 실행에 있어서는 꾸준함과 인내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럼 뭘 준비해 볼까…?


노후준비에 나섰다면, 노후준비는 크게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삶을 기본적으로 가능케 하는 경제적인 부문과 삶을 윤택하게 하는 생활적인 부문이 그 것이다. 흔히들 재무적인 것과 비재무적인 것으로도 많이 구분하는 것인데, 이 두 가지 측면이 모두 고려되고 준비돼야 비로서 행복한 100세시대가 가능하다. 돈만 많다고 결코 행복할 수 없으며, 또 돈 없이 행복하기란 것도 결코 쉽지 않다

 

재무 : 기본적으로 입에 풀칠은 하고 살아야…

 

④ 열흘 굶어 군자 없다.
경제적인 준비, 즉 돈을 준비하는 것은 노후준비에 있어 기본 중의 기본이다. 아무리 성인군자라도 배가 고프면 남의 집 담을 넘기 마련이다. 먹고 사는 문제, 즉 의식주가 기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삶의 가치를 지키며 인간적인 삶을 영유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최근 들어 노후의 주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자아실현도 기본적으로 의식주의 해결을 통한 자아의 존재가 선행돼야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우리나라 60세 이상 고령자들에게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이 다름아닌 바로 경제적인 어려움이기 때문이다. 

40% 가량의 많은 고령자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데,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상태에서 행복한 노후를 논하기란 쉽지 않다..

⑤ 죽 푸다 흘려도 솥 안에 떨어진다.
경제적인 준비는 젊었을 때부터 시작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당장 돈 쓸 곳이 많다며 노후준비를 자꾸만 미루려 한다. 당장 생활에 소용되는 자금이 아니란 이유로 노후준비를 위해 따로 돈을 모으면 괜히 손해보는 느낌이 든다는 사람도 있다. 마치 보험료를 아까워하는 사람이 많은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노후준비 자금은 나중에 반드시 자신을 위해 소용된다.

지금 당장이야 풀 때 흘리는 죽처럼 아깝지만, 그 흘린 죽은 결국 솥 안에 떨어져 언젠가는 내가 먹게 된다. 노후준비를 위한 자금이 당장에는 생활에 소용없고 조금은 아깝기도 하지만, 결국은 나의 노후를 위해 절대적으로 소용되는 자금이 될 것이다. 젊었을 때부터 차근차근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⑥ 한 부모는 열 자식을 거느려도 열 자식은 한 부모 못 거느린다.
고령자 중 17.5% 가량의 사람들이 경제적인 부문을 자식에게 의탁할 생각이 있다고 한다. 사실 힘들게 나아서 어렵게 교육시키며 뒷바라지했기 때문에 자식에게 기대려 하는 마음이 일면 이해가 가기도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 부모는 자식이 열이라도 어떻게 거느리며 살지만, 자식은 제 아무리 많아도 제 한 부모 간수하지 못한다고 했다. 하물며 옛사람들도 그랬는데, 오늘날처럼 자식들도 제 밥그릇 지키며 살아가기 버거운 것이 현실인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자식에게 기댈 생각하지 말고 자력구제에 나서야 한다.

비재무 : 먹고만 살 것인가…

⑦ 삼 년 구병에 효자 없다.
앞서 언급한 노후의 걱정거리 중 경제적인 어려움 다음으로 못지 않게 많이 호소하는 것이 바로 건강문제다. 따라서 비재무적인 측면에서의 노후준비 핵심 중에 하나는 바로 건강이다.

자리보전하고 누운 부모를 돌보는 것은 제 아무리 효자라도 힘든 일이다. 거동이 불편해지는 늘그막에 병까지 생긴다면 삶의 질이 현격히 낮아지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육체적 능력이 저하되고, 건강이 이전만 못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제 아무리 효자라도 감당할 수 없는 노년의 건강문제는 결국 자신이 지켜야 한다. 

젊고 건강할 때부터 기초체력을 다지고, 근력운동 등을 통해 떨어지는 근력을 보강해야 한다.

⑧ 깊던 물도 얕아지면 오던 고기도 아니온다.
은퇴를 하고 노년에 들게 되면 이런저런 이유로 사회와의 끈이 하나 둘씩 끊어지기 마련이다. 사회관계의 핵심이었던 직장에서 은퇴를 하게 되면서 커다란 관계단절을 경험하게 되고, 여기에 친구나 배우자와 사별이라도 할라치면 사회에서 고립되는 건 순식간이다. 

그래서 노후에 유독 외로움을 타고, 심지어는 우울증 같은 정신병적 증세까지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물이 깊을 때는 물고기도 자연스럽게 찾아오지만, 물이 얕아지게 되면 오던 물고기도 찾아오지 않게 된다. 사람도 늙거나 형세가 기울게 되면 자연스럽게 남들이 들여다보지 않는 것이 세상 인심이다. 

따라서 늙어갈수록 사람과의 관계를 의도적으로 넓혀갈 필요가 있다. 마음에 맞는 단짝을 만들고 이웃과 친해지고 배우자와의 시간을 늘리는 것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⑨ 알아야 면장을 한다.
하다못해 면장을 하려고 해도 뭘 알아야 해 먹는다. 배우지 않고, 아는 게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심지어 노는데도 배움이 필요한 세상이다. 더구나 100세시대가 되면서 노년이 엄청나게 길어진 상황에서 새로이 무언가를 배우지 않고서는 의미있는 노년을 보내기 힘든 세상이 됐다. 

젊은 시절 시간도 없고, 정신도 없고 해서 생각만 한 채 실행하지 못했던 것을 배움을 통해서 실현할 수 있게 된 요즘이다. 따라서 이 나이에 배워서 뭐하냐는 고리타분한 생각은 접고, 새로운 배움을 통해 의미있고 행복한 노년을 준비해야 한다.

⑩ 저 잘난 맛에 산다.
나이들어 간다고 해서 움츠러들 필요 없다. 사람의 삶을 지탱하게 해주는 것은 자존감이다. 남들이 뭐라 해도 내가 나를 사랑하고 나를 존중한다면 삶의 질은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자신감도 떨어지고, 덩달아 자존감도 떨어지기 마련이지만 마음먹기 나름이다.

내가 잘났다면 그 맛에 사는 거다. 천리마는 늙었어도 천 리 가던 생각만 한다고 했다. 몸은 비록 늙었어도 마음은 언제나 젊은 시절과 다름없다는 말인데, 몸 늙는 것이 어디 나뿐이랴. 그건 그대로 인정하고, 마음만 젊음을 잃지 않는다면 노년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일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