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투자포인트/공지사항

전국 건축물 총 7,054,733동 / 35억7천3백만㎡

by SL. 2017. 2. 13.

2017-02-13

 전년대비 수도권 연면적 4.1% 증가, 지방은 3.8% 증가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말 전국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67,820동(1.0%) 증가한 7,054,733동, 연면적은 135,713천㎡*(3.9%) 증가한 3,573,625천㎡라고 밝혔다.

*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569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3,112천㎡(4.1%) 증가한 1,611,905천㎡이고, 지방은 72,601천㎡(3.8%) 증가한 1,961,720천㎡이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주거용이 2.7% 증가한 1,699,314천㎡(47.6%)으로 가장 컸고, 상업용은 5.9% 증가한 761,415천㎡(21.3%), 공업용은 5.4% 증가한 385,174천㎡(10.8%), 문교·사회용은 4.0% 증가한 321,401천㎡(9.0%)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주거용이 2.5% 증가한 791,347천㎡(49.1%), 상업용은 4.4% 증가한 372,918천㎡(23.1%), 공업용은 9.6% 증가한 141,329천㎡(8.8%), 문교·사회용은 3.3% 증가한 141,666천㎡(8.8%) 순이며, 지방 또한 주거용이 2.9% 증가한 907,967천㎡(46.3%), 상업용은 7.4% 증가한 388,496천㎡(19.8%), 공업용은 3.1% 증가한 243,844천㎡(12.4%), 문교·사회용은 4.5% 증가한 179,734천㎡(9.2%) 순이다.
 

세부 용도별 건축물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040,105천㎡(61.2%)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2,550천㎡(19.6%), 다가구주택 158,750천㎡(9.3%), 다세대주택 116,501천㎡(6.9%), 연립주택 39,633천㎡(2.3%)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518,336천㎡(65.5%)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86,673천㎡(11.0%), 다세대주택 86,639천㎡(10.9%), 다가구주택 73,195천㎡(9.2%), 연립주택 22,286천㎡(2.8%) 순이며, 지방 또한 아파트가 521,768천㎡(57.5%)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5,876천㎡(27.1%), 다가구주택 85,554천㎡(9.4%), 다세대주택 29,862천㎡(3.3%), 연립주택 17,347천㎡(1.9%)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8.2%), 제주(39.1%), 강원(36.0%) 순이고, 다가구주택은 대전(15.9%), 대구(14.6%), 울산(12.3%) 순이며, 아파트는 세종(76.4%), 광주(73.2%), 부산(69.1%), 연립주택은 제주(9.3%), 서울(3.7%), 강원(2.8%), 다세대주택은 서울(13.9%), 인천(13.2%), 제주(9.8%) 순이다. 

[2]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44,590천㎡(32.1%)로 가장 컸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15,916천㎡(28.4%), 업무시설 118,692천㎡(15.6%), 판매시설 57,578천㎡(7.6%) 순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09,949천㎡(29.5%)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97,489천㎡(26.1%), 업무시설 79,747천㎡(21.4%), 판매시설 33,452천㎡(9.0%) 순이며, 지방 또한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34,641천㎡(34.7%)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18,426천㎡(30.5%), 업무시설 38,944천㎡(10.0%), 판매시설 24,126천㎡(6.2%) 순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전북(35.9%), 충북(35.3%), 세종(34.6%) 순이고,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39.8%), 전북(37.4%), 충북(37.1%) 순이며, 판매시설은 서울(10.5%), 대전(8.9%), 부산(8.6%), 업무시설은 서울(30.9%), 세종(17.6%), 대구(17.2%) 순이다.
 

건축물 노후도 및 멸실현황


준공 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 2,543,217동으로 전체(7,054,733동)의 36.0%이다

지역별 건축물은 수도권이 25.4%, 지방은 40.1%로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되었다.

용도별 노후 건축물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이 30.1%로 가장 많고, 상업용(23.1%), 문교·사회용(15.1%), 공업용(8.2%) 순이며, 지방 또한 주거용이 50.3%로 가장 많고, 상업용(24.3%), 문교·사회용(18.3%), 공업용(13.5%) 순이다.

2016년 멸실된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5.1% 증가한 56,341동, 연면적은 16.6% 증가한 14,255천㎡ 이다.
 

규모별, 소유주체별 현황


우리나라의 최고층 건축물1)은 부산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80층)”이며, 50층 이상 초고층 건축물은 전년대비 8개동2)이 증가한 102개동이다.
 

1) 최고층 건축물 (지상층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두산위브더제니스 101동 : 지상층수 80층 / 높이 301m

※ 가장 높은 건축물 (높이 m)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북아무역타워 : 지상층수 68층 / 높이 305m

2) 2016년 준공된 초고층 건축물(8개동)
- 일산 요진 와이시티(59층 3동, 58층 1동, 57층 1동, 55층 1동),
서울 래미안 첼리투스(56층 1동), 인천 롯데캐슬 캠퍼스타운(55층 1동)


현재 건설 중인 초고층 건축물은 서울 제2롯데월드(123층), 부산 롯데타운(107층),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101층) 등이다.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371천동(62.0%), 2~4층 건축물 2,316천동(32.8%), 5층 건축물 161천동(2.3%) 순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백㎡미만 건축물 3,253천동(46.1%), 1백~2백㎡미만 건축물 1,578천동(22.4%), 3백~5백㎡미만 건축물 736천동(10.4%) 순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636천동(79.9%), 법인 소유 건축물 434천동(6.2%), 국·공유 소유 건축물 185천동(2.6%) 순이다.
 

인구 및 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대비 2.41㎡ 증가(66.72㎡→69.13㎡) 하였으며, 수도권은 2.18㎡ 증가(60.81㎡→62.99㎡)하고, 지방은 2.66㎡ 증가(72.49㎡→75.15㎡)하였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경북(40.69㎡), 세종(38.00㎡), 충북(35.88㎡)순이고, 상업용은 제주(19.23㎡), 강원(18.43㎡), 서울(16.81㎡)순이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전년대비 0.2% 증가한 3.6% (3,437백만㎡→3,573백만㎡)이며, 지역별로 수도권은 0.5% 증가한 13.6%, 지방은 0.1% 증가한 2.2%로 확인되었다.

시도별 토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90.2%로 가장 크며, 다음은 부산(29.2%), 대전(19.6%), 광주(19.3%) 순이다.

※ 위 자료에서 분류하는 통계용 건축물의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 상업용 : 근린생활, 자동차관련, 판매, 운수, 숙박, 업무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학교,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시설 : 공공업무시설,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의 작성기준은 2016.12.31일 자료입니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8847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8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