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간 1만1천건 거래 의심… 도내 7천건 달해 전국 최다
개발 묶인 임야·그린벨트 다수… 높은 가격에 판매돼 주의 요구
개발 묶인 임야·그린벨트 다수… 높은 가격에 판매돼 주의 요구
최근 3기 신도시와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남북 경제협력 추진 등 경기도내 각종 개발 호재를 틈타 기업형 기획부동산의 토지 거래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개발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묶인 땅들을 지분 형태로 높은 가격에 매각한 뒤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토지·건물 실거래 정보회사 밸류맵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4개월간 실거래 신고가 이뤄진 18만1천여 건에 대해 알고리즘을 분석한 결과 기업형 기획부동산이 판매한 토지 거래 건수가 6.4%인 1만1천600여 건으로 추정됐다고 9일 밝혔다.
밸류맵은 일정 기간 특정 지번의 토지가 일정 규모로 계속 반복해서 정가에 거래되는 경우를 기획부동산 매매 의심 토지로 분류했다. 특히 3기 신도시와 GTX 개발, 남북경협 등 개발 호재가 많은 도내 기획부동산 추정 거래 건수가 7천393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기획부동산 거래 비율도 이 기간의 도내 전체 토지 거래량(4만3천764건)의 16.9%에 달해 전국 평균의 3배 수준에 달했다. 또 충남이 930건, 세종시 802건, 강원도 700건, 인천 547건 등의 순으로 기획부동산의 거래가 많았다.
이들은 개발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묶인 땅들을 지분 형태로 높은 가격에 매각한 뒤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토지·건물 실거래 정보회사 밸류맵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4개월간 실거래 신고가 이뤄진 18만1천여 건에 대해 알고리즘을 분석한 결과 기업형 기획부동산이 판매한 토지 거래 건수가 6.4%인 1만1천600여 건으로 추정됐다고 9일 밝혔다.
밸류맵은 일정 기간 특정 지번의 토지가 일정 규모로 계속 반복해서 정가에 거래되는 경우를 기획부동산 매매 의심 토지로 분류했다. 특히 3기 신도시와 GTX 개발, 남북경협 등 개발 호재가 많은 도내 기획부동산 추정 거래 건수가 7천393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기획부동산 거래 비율도 이 기간의 도내 전체 토지 거래량(4만3천764건)의 16.9%에 달해 전국 평균의 3배 수준에 달했다. 또 충남이 930건, 세종시 802건, 강원도 700건, 인천 547건 등의 순으로 기획부동산의 거래가 많았다.
기업형 기획부동산은 개발 호재가 많은 지역 인근의 그린벨트나 보존관리지역 임야 등을 여러 회사 명의를 동원해 공동 구매한 뒤 지분을 쪼개 텔레마케팅, 블로그 영업 등을 통해 모집한 투자자에게 판매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기 계약직을 대량 채용해 직원에게 우선 지분 매매를 하는 다단계식 영업 방식도 활용되기도 한다는 게 밸류맵 측의 설명이다. 기획부동산이 판매하는 토지는 개발이 어려운 임야나 그린벨트인 경우가 많고, 수백 명이 지분 형태로 토지를 소유하면서 토지이용에 제한이 많다.
금액도 기획부동산의 최초 매입 금액에서 4∼5배 이상 비싼 값에 판매돼 추후 되팔기도 어려워 주의가 요구된다
남양주 왕숙지구 전경
저작권자 © 중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시계획사업 > GTX (수도권광역급행열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X-C 사업 ‘시동’… 국토부, 기본계획 용역 (0) | 2019.05.07 |
---|---|
닻 올리는 GTX C노선, 연장하나 (0) | 2019.05.03 |
‘신분당선 연장·GTX B’ 날개 단다… 예타제도 20년만에 전면 개편 (0) | 2019.04.02 |
GTX-A 민자 조달 ‘초고속’ 완료 (0) | 2019.04.01 |
GTX-C노선 본격 개발… 수원시, ‘수도권 교통 허브’ 예약 (0) | 2019.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