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5.21
이사를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누구는 직장 가까운 곳으로 이사하고(직주 근접) 누구는 아이들이 학교 다니기 편한 곳으로 집을 옮긴다.(학주 근접)
때로는 학교나 직장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공기 좋고 한적한 곳을 찾아 여유를 추구하기도 한다. 목적은 제각각이지만 원하는 바는 다르지 않다. 통학이든 출퇴근이든 삶의 질이든 생활의 피곤을 덜 수 있는 더 나은 곳을 찾는다는 점이다.
서울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인포그래픽스 자료에 따르면 서울 가구의 절반가량(49.5%)이 주거 이동 의향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20대와 30대 가구주는 10명 중 7명 이상이 이사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 이유로는 지금보다 더 큰 집을 찾는 '주택규모 확대'가 20.7%로 가장 많았고 '임대 계약 만료나 집주인의 퇴거 요구'가 17.0% 비율로 뒤를 이었다.
서울 시민 5명 중 1명이 더 큰 집으로 이사를 가는 그 순간, 또 다른 5명 중 1명은 임대료 올려달라는 집주인의 말에 다른 셋집을 찾아 나서는 셈이다.
주거에 대한 불만은 서울의 인구 감소로도 연결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을 떠나 경기도나 인천 등 다른 수도권으로 이주한 인구는 13만여 명에 달한다. 이들이 가장 먼저 꼽은 이주 이유는 전셋값과 같은 주거비용의 급등이다.
특히 아직 부의 축적이 이뤄지지 않은 젊은 층에게는 서울의 주거비용은 이미 감당 불가능한 수준으로 불어난 상태다. 지난해 서울의 순유출(전입-전출) 인구 중 30대는 4만8400여 명에 이른다. 서울을 떠난 사람 3명 중 1명은 사회 초년생인 30대였다는 말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2011년 6월 이후 58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당시 1억3000만원을 밑돌던 평균 전셋값은 2배 이상 뛰어 4억원을 넘겼다.(KB국민은행 자료)
이 기간 서울의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1년 1050만명을 웃돌던 서울 인구는 2013년 1030만명까지 줄어들더니 지금은 1000만명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올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올 1분기에만 2만3800여 명이 서울을 등졌다. 3월 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1000만9588명이다. 추세대로라면 이번 분기 중으로 서울 인구가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최근 서울의 모습은 1990년대 도심 인구가 외곽지역으로 이탈하면서 도심이 공동화하고 활력을 잃어갔던 일본 도쿄의 모습을 꼭 닮았다.
도시개발이 돈 되는 아파트와 오피스텔 짓기에 편중되면서 생산 역동성과 일자리 창출을 책임져야 할 도시제조업은 쇠퇴했다.
불경기 속에 비용 줄이기가 대세가 되면서 대기업도 지방으로 떠났다. 그나마 젊은 층을 서울에 묶어둘 수 있는 매력마저 사라졌다.
돈 벌 기회는 줄었는데 주거, 식비, 각종 공과금까지 기본적인 생활물가는 여타 지역에 비해 한참 높다. 젊은 층이 살아가기에는 너무나 모진 현실이다.
과거 1990년대 초반 정점을 찍었던 서울 인구가 2000년대 초반까지 급속도로 줄어든 이유 중 하나가 분당, 일산 등 수도권 1기 신도시 건설이었다.
이번에는 동탄1, 판교, 광교, 파주에 이어 위례, 동탄2 등의 입주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또 한번의 탈서울 가속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서울시가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청년 임대주택 공급을 비롯한 대책을 마련 중이지만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서울시의 한 주택정책 담당자는 "하루 빨리 전셋값 상승 제한 등 근본적인 주거대책을 세워야 할 순간이지만 정치적인 논리 속에 거듭 표류하고 있다"며 "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알면서도 치료를 시작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엄성원 기자 airmaster@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m.media.daum.net/m/media/economic/newsview/20160521051532858?seriesId=113437
이사를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누구는 직장 가까운 곳으로 이사하고(직주 근접) 누구는 아이들이 학교 다니기 편한 곳으로 집을 옮긴다.(학주 근접)
때로는 학교나 직장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공기 좋고 한적한 곳을 찾아 여유를 추구하기도 한다. 목적은 제각각이지만 원하는 바는 다르지 않다. 통학이든 출퇴근이든 삶의 질이든 생활의 피곤을 덜 수 있는 더 나은 곳을 찾는다는 점이다.
서울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인포그래픽스 자료에 따르면 서울 가구의 절반가량(49.5%)이 주거 이동 의향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20대와 30대 가구주는 10명 중 7명 이상이 이사를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 이유로는 지금보다 더 큰 집을 찾는 '주택규모 확대'가 20.7%로 가장 많았고 '임대 계약 만료나 집주인의 퇴거 요구'가 17.0% 비율로 뒤를 이었다.
서울 시민 5명 중 1명이 더 큰 집으로 이사를 가는 그 순간, 또 다른 5명 중 1명은 임대료 올려달라는 집주인의 말에 다른 셋집을 찾아 나서는 셈이다.
주거에 대한 불만은 서울의 인구 감소로도 연결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을 떠나 경기도나 인천 등 다른 수도권으로 이주한 인구는 13만여 명에 달한다. 이들이 가장 먼저 꼽은 이주 이유는 전셋값과 같은 주거비용의 급등이다.
특히 아직 부의 축적이 이뤄지지 않은 젊은 층에게는 서울의 주거비용은 이미 감당 불가능한 수준으로 불어난 상태다. 지난해 서울의 순유출(전입-전출) 인구 중 30대는 4만8400여 명에 이른다. 서울을 떠난 사람 3명 중 1명은 사회 초년생인 30대였다는 말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2011년 6월 이후 58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당시 1억3000만원을 밑돌던 평균 전셋값은 2배 이상 뛰어 4억원을 넘겼다.(KB국민은행 자료)
이 기간 서울의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1년 1050만명을 웃돌던 서울 인구는 2013년 1030만명까지 줄어들더니 지금은 1000만명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올해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올 1분기에만 2만3800여 명이 서울을 등졌다. 3월 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1000만9588명이다. 추세대로라면 이번 분기 중으로 서울 인구가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최근 서울의 모습은 1990년대 도심 인구가 외곽지역으로 이탈하면서 도심이 공동화하고 활력을 잃어갔던 일본 도쿄의 모습을 꼭 닮았다.
도시개발이 돈 되는 아파트와 오피스텔 짓기에 편중되면서 생산 역동성과 일자리 창출을 책임져야 할 도시제조업은 쇠퇴했다.
불경기 속에 비용 줄이기가 대세가 되면서 대기업도 지방으로 떠났다. 그나마 젊은 층을 서울에 묶어둘 수 있는 매력마저 사라졌다.
돈 벌 기회는 줄었는데 주거, 식비, 각종 공과금까지 기본적인 생활물가는 여타 지역에 비해 한참 높다. 젊은 층이 살아가기에는 너무나 모진 현실이다.
과거 1990년대 초반 정점을 찍었던 서울 인구가 2000년대 초반까지 급속도로 줄어든 이유 중 하나가 분당, 일산 등 수도권 1기 신도시 건설이었다.
이번에는 동탄1, 판교, 광교, 파주에 이어 위례, 동탄2 등의 입주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또 한번의 탈서울 가속화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서울시가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청년 임대주택 공급을 비롯한 대책을 마련 중이지만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서울시의 한 주택정책 담당자는 "하루 빨리 전셋값 상승 제한 등 근본적인 주거대책을 세워야 할 순간이지만 정치적인 논리 속에 거듭 표류하고 있다"며 "병의 원인과 치료법을 알면서도 치료를 시작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엄성원 기자 airmaster@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m.media.daum.net/m/media/economic/newsview/20160521051532858?seriesId=113437
'^^공간이야기 > 세상살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 ‘자녀 취업준비’ 월 78만원 지출 (0) | 2016.05.21 |
---|---|
남편·아들…남자는 여자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과부가 남편있는 여성보다 더 건강…집안일에 대한 스트레스 (0) | 2016.05.21 |
[부부의날]부부(夫婦)가 될 수 없는 부부(夫夫) 혹은 부부(婦婦) (0) | 2016.05.21 |
[빅데이터 분석] 가장 의심가는 사람 1위 '남편', 엄마는 '거짓말쟁이' 2위 (0) | 2016.05.20 |
결혼비용 1억2500만원..부모 93% "통장 깼다" 둘 결혼시키면 노후 자금 부족 (0) | 2016.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