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26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과일도 편의점에서 낱개 또는 적은 용량으로 판매하는 '소포장 과일'이 인기다.
사진은 서울 강남구 한 편의점의 과일 판매대.
1인가구>부부+미혼자녀 '역전' 전망…60세 이상 가구주도 44%
현재 서울의 가장 흔한 가족 구조는 부부와 미혼자녀이지만 15년 뒤에는 1인 가구가 이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26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 가족구조 및 부양변화' 자료를 보면 올해 서울시내 가족의 33.6%는 부부와 미혼자녀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1인 가구(27%), 부부(13.5%), 한부모(10.5%), 조부모와 손자녀(0.7%)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는 2000년만 해도 전체의 49.8%를 차지했으나 올해 33.6%로 줄었고, 추이를 감안하면 2030년에는 25.4%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1인 가구는 2000년에는 16.3%에 불과했으나 올해 27%로 늘었고 2030년에는 30.1%를 기록,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보다 많아질 전망이다.
부부 가구는 2030년 17.9%, 한부모 가구는 11.2%, 조부모와 손자녀 가구는 1.3%까지 늘 것으로 예측됐다.
조부모와 부부, 미혼자녀 등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구는 2000년 7.4%에서 올해 5.4%로 줄었고, 2030년에는 4.6%로 감소할 전망이다.
부산복지개발원이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부산시 인구 감소와 1인 가구 증가 현황을 나타낸 인포그래픽. (부산복지개발원 제공)
서울시는 4명 이상인 대가족이 줄고 1∼2명인 '미니 가정'으로 가족 규모가 축소되는 현상이 미혼·이혼·별거 증가와 저출산·고령화 때문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인구 고령화로 60세 이상 가구주의 비중은 2000년 15.2%에서 올해 27.1%로 늘었고 2030년에는 44.4%가 될 전망이다.
2000년만 해도 가구주의 주요 연령층은 30대(26.1%)와 40대(27.2%)가 전체의 과반이었지만 올해는 50대(23.4%)와 60대(27.1%)가 절반을 넘었다.
한편, 노인 복지 확대를 위해 세금을 추가로 낼 의향이 있다고 답한 서울시민은 2007년 26.1%에서 2013년 37.3%로 늘었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24/0200000000AKR20150424162600004.HTML?input=1179m
'^^투자포인트 >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가상한제 폐지로 내집마련 부담 커진다" (0) | 2015.04.27 |
---|---|
쏟아지는 신상, '분양가 덤터기' 조심 (0) | 2015.04.26 |
부동산경기 '꿈틀'…작년 건축물 착공 5년만에 최다 (0) | 2015.04.26 |
요즘 30대가 '어쩔 수 없이' 집 사는 이유 (0) | 2015.04.21 |
서울·수도권 광역 철도망, 부동산 가치 확 높인다 (0) | 201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