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경기도/경기만야기

"평택항 좁은 여객부두가 항만 성장 걸림돌"

by SL. 2012. 8. 7.

대중국 교역기지 각광… 전국 5대 무역항 부상
여객부두 2개 선석 불과… 카페리 승객·화물 처리 곤란
재정·민자사업 오락가락… 6년 동안 제자리걸음만

수도권과 중부권의 관문에 자리잡고 대중국 교역기지 역할을 하고 있는 평택항. 지난 1986년에 개항해 역사는 길지 않지만 이제는 부산·광양·울산·인천에 이어 5대 무역항이 됐다. 또 개항 이후 연평균 물동량 증가율이 17.8%로 단연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물동량 1억t을 돌파할 전망이다. 특히 자동차 처리물량은 2010년과 2011년 연속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고 올해도 역시 꾸준하다.

그러나 경기도와 평택시, 경기평택항만공사의 속을 태우는 현안이 있다. 승객과 화물을 운반하는 카페리가 정박하는 국제여객부두의 증설 문제가 6년째 제자리걸음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평택항은 중국의 영성·연운·위해·일조 4개 노선에 카페리 정기 항로가 운영되고 있다. 승객은 작년 한해에만 51만명이 이용해 2010년보다 24.5%나 늘었고, 카페리를 통해 수송되는 컨테이너 화물의 물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여객부두는 2개 선석에 불과해 한꺼번에 카페리 두 척만을 수용할 수 있다. 3개 항로의 선박이 동시에 접안하는 목요일에는 감당하기가 버겁다. 이 때문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입·출항 시간을 조정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작년 3월 취항해 12월까지 주 3회 운항했던 국내선 평택~제주 노선 카페리는 여객부두 대신에 잡화부두를 사용해야 했다. 더구나 내년에는 중국 연태와 석도 노선의 신규 취항도 검토되고 있어 사정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하늘에서 내려다본 평택항의 여객부두 모습.

매년 승객과 화물이 증가하고 있으나 선석이 두 개밖에 없어 확장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01년 준공된 국제여객터미널의 시설도 증가하는 여객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하루 적정 수용인원 400명을 기준으로 건립됐으나 현재는 무려 2500여명이 이용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좁은 내부 공간은 대기하는 승객으로 넘쳐나고, CIQ 시설 부족으로 각종 수속이 지연되는 불편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평택항만공사는 "급증하는 여객 및 항로 개설 수요에 대응하고 이용객의 불만을 없애기 위해 신규 여객부두 건설이 시급하다"고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다.

정부도 평택항의 성장을 감안해 여객부두 증설을 검토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6년째 재정과 민자사업을 오가며 제자리걸음이다. 정부는 지난 2006년 수립된 항만 기본 계획에 따라 2013년까지 평택항 내항에 3만t급 2선석, 신국제여객터미널 등을 민간 투자방식으로 개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경기 침체로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는 투자자가 나서지 않자 2010년 12월 정부 예산을 투자하는 재정사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2014년까지 건설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와 예산 문제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다시 문제가 꼬였다. 기재부는 충분한 사전 검토와 예비 타당성 조사를 요구하며 반려했다. 작년 정기국회에서도 여객부두 실시설계비 예산 39억원이 반영되지 못했다. 이에 국토부는 올 3월 다시 민간 투자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3만t급 접안시설 4선석과 1만㎡ 규모의 터미널, 12만4000㎡의 배후부지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준공과 동시에 시설 소유권은 국가가 갖고, 시행자는 일정 기간의 관리운영권을 갖는 BTO 방식이다.

그러나 경기도나 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이 얼마나 정부의 관심 밖에 있는지 보여준 셈"이라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당초에는 준공시점이었던 2014년이 착공시점이 되면서 빨라도 2016년 이후에나 완공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014년 9월로 예정된 인천 아시안게임의 반사이익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또 경쟁 항만인 인천항은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바탕으로 여객부두 건설 사업이 2014년 부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어 상대적으로 홀대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 항만투자협력과 김창균 과장은 "현재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에서 경제성 분석 작업을 하고 있으며 곧 기재부의 민간 투자 심의 절차를 밟게 된다"며 "항만법 개정으로 배후단지에 일반물류시설뿐 아니라 업무·판매시설 등도 들어올 수 있도록 사업성이 개선돼 관심을 보이는 민간업체도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사업자 모집과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을 거쳐 이르면 내년 하반기쯤 착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