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경기도/의왕·군포

군포 대감·속달지구 GB규제 완화 기대감↑…"명품 주거지 된다"

by SL. 2015. 5. 28.

2015.05.08

 

 

 

 

 

2004년 GB 일부 우선 해제 이후 십여년 제자리걸음

군포시 "타운하우스 중심 저층주거지역 개발" 방침 밝혀

광명 가리대사거리·의왕 첨단산업단지도 개발 속도낼 듯

 

 

"이름만 군포시였지 시골마을이나 다름 없어요. 몇 년 전부터 그린벨트가 해제될 거라면서도 진행되는 게 없었어요. 몇몇 분들은 '명품 주거지가 될 수 있는 곳인데'라며 아쉬워 하기도 했고요. 개발이 본격화 되면 살기 좋아지겠죠."(김모·58·경기 군포시 대야미동)
 

 

"그린벨트에서 풀리면 수요가 몰려 땅값이 폭등할 거예요. 서울 한복판으로 나가는 전철이 동네 앞을 지나가는데 이만한 녹지공간이 있는 곳은 많지 않아요."(대야미동 B공인중개업소 대표)
 

 

국토교통부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규제 개선방안'이 발표된 이튿날인 7일 수혜 지역으로 떠오른 곳들의 주민들은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경기 군포 대감지구(24만7310㎡)와 속달지구(22만4670㎡)는 대표적인 수혜지역이다. 일부 지역(대감지구 7만3700㎡·속달지구 4만2330㎡)은 지난 2004년 우선 해제됐다. 나머지 지역에 대해서는 지난해 6월 군포시가 국토부에 그린벨트 해제 신청을 한 상태였다. 국토부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중도위) 심의를 거치면 최소 2~3년이 걸린다.


 

하지만 전날 국토부 발표로 면적 30만㎡ 이하 그린벨트 해제 권한이 시·도지사에게 넘어가면서 해제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사업 추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대감지구 인근 마을에 거주하는 김모(61)씨는 "그린벨트 우선 해제가 된 게 2004년인데 10년이 넘도록 아무 변화가 없어 주민들 대부분이 기대를 접었었다"며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땅값이 오를텐데 누가 마다하겠느냐"고 말했다.
 

 

이모(57)씨도 "아파트든 뭐든 개발되면 살기는 좋아질 것"이라며 "버스 같은 대중교통망이 확충이 시급한데 개발되면 자연스레 늘어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군포시는 대감·속달지구를 타운하우스 중심의 저층 주거지역으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군포시 관계자는 "수리산 자락보다 높은 건물이 올라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경관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5층 수준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사업성이 떨어져 공동주택으로 개발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만큼 당초 예상보다 그린벨트 해제 면적을 줄여 사업을 추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대감지구와 속달지구는 지난 2004년 일부 지역이 그린벨트에서 우선 해제됐을 때 공시지가 기준으로 3.3㎡당 8만~25만원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25만~234만원까지 올랐다.
 

 

S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사실상 거래가 끊겨 시세라는 게 의미가 없는 상황이었다"며 "조금씩 거래가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K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그린벨트 해제 지역이 줄어든다는 것은 녹지 보존 공간이 더 커진다는 것"이라며 "전원주택으로서의 가치는 더 올라가기 때문에 토지가격 상승 여지는 더 높다"고 주장했다.

 

 

 

경기 의왕시 '첨단산업단지' 예정지와 광명 소하동 가리대사거리 일대도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개발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의왕 첨단산업단지는 의왕시 이동 일대 18만4000㎡에 전기·전자·의료정밀·IT 기업 등을 유치하기 위해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의왕시는 국토부에 그린벨트 해제 신청을 한 상태였다. 군포 대감·속달지구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도 30만㎡가 안 되는 지역이기 때문에 사실상 승인됐다.
 

 

의왕시 관계자는 "정부가 방침을 발표했더라도 법령이나 지침 개정이 안 된 상태이기 때문에 현재로서 미치는 영향은 없다"면서도 "중앙정부의 심의를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업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광명시 소하동 가리대사거리 지역 주민들도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광명시는 이 지역의 개발을 위해 22만㎡의 그린벨트를 해제해달라고 경기도에 요청한 상태다. 해당 안건은 경기도에서 심의 중이다. 별도의 국토부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만큼 개발이 경기도가 허가한다면 개발이 빨라질 가능성이 크다. 광명시는 이 지역에 아파트 5300가구 등이 들어설 수 있는 공동주택부지와 근린생활시설 부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S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인근 지역이 도시화 됐기 때문에 그린벨트로 묶어둘 명분이 크지 않다"며 "주민들의 개발 요구도 거세다"고 말했다. 

 

김모(38)씨는 "집 근처에 대규모 비닐하우스가 있는 것보다는 번듯한 아파트 단지가 있는 게 좋지 않겠느냐"며 "빠른 시일 내에 개발이 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놨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www.news1.kr/articles/?2221385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w=news&DA=SBC&cluster=y&q=%EA%B5%B0%ED%8F%AC+%EB%8C%80%EA%B0%90+%EC%86%8D%EB%8B%AC%EC%A7%80%EA%B5%AC+GB%EA%B7%9C%EC%A0%9C+%EC%99%84%ED%9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