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6.19
"1억원으로 뭐하지?"…투자 바람 '주의보'
"집 사야 돼?" 속 시원히 대답해 줄 사람은 없다. "지금?" 답하긴 더 어렵다. 의식주 가운데 유독 힘들게 느껴지는, 평생 애증의 대상 '집'. 그리고 세상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부동산(나머지 절반은 동산)에 관한 이야기를 다양하게 다루고자 한다. '땅땅' 거리며 살아보자.
'사실상 예금금리 0% 시대.'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한 푼 두 푼 모아봤자 돈이 안 된다는 심리가 사람들을 여기저기 기웃거리게 한다.
"1억원을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까?." 지인들이 자주 하는 질문들이다. 사실 1억원도 작은 돈이 아니다. 매월 200만원씩 꼬박 4년 이상을 모아야 한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에 있어 선택의 폭은 생각보다 좁다.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가 빌딩은 최소 매입 단위가 수십억원대로 대출을 받는다고 해도 일반인들은 접근이 어렵다.
그나마 선택할 수 있는 대상이 오피스텔이다. 오피스텔은 1%대 예금금리보다는 수익률이 좋고 1억원대로 접근 가능한 상품이다. 다만 분양가가 높아지고 공급 물량은 늘고 있어 수익률은 더 낮아질 수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5.62%다. 5월 기준 서울 평균은 5.25%, 강남은 4.97%로 5%를 밑돌았다. 임대료가 매매가격 상승 추세를 따라가지 못한 탓이다.
전문가들은 고가의 신규 분양보다는 역세권에 위치한 기존 오피스텔을 추천했다. 오피스텔은 임대료 수익이 주된 목적인데 매입 비용 부담을 낮추면 그만큼 수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펀드도 투자 대상으로 꼽힌다. 가령 1000억원대의 빌딩을 구입할 때 같이 자금을 대고 나중에 임대료 수입을 배당받는 방식이다. 최근 한 시중은행이 가입자를 모집한 상품은 1억원 이상이면 가입이 가능했다. 예상 투자 수익률은 연평균 7.92%. 매각차익까지 포함하면 11.58%다. 6개월마다 배당을 받는다.
부동산펀드는 운영기간은 통상 5년 전후며 매입 대상은 오피스빌딩, 호텔, 대형마트 등 상품에 따라 다양하다. 오피스빌딩의 경우 건물 매입 가격이 적정한지 여부와 공실률 등을 잘 따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한 부동산개발투자회사 대표는 "펀드의 형태지만 금융상품이 아니다. 본인이 직접 부동산을 산다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직접 주변 임대수익 등을 조사하고 좋은 물건이라는 판단이 서면 가입할 것"을 권했다.
부동산 펀드는 5년 뒤 좋은 가격에 팔면 매각 차익까지 챙길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목돈이 없는 일반인들은 청약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강남 재건축 아파트 등에 쏠림현상이 두드러진다. 전매 제한이 있지만 당첨자 발표와 동시에 웃돈이 붙어 분양권 거래가 되는 불법 전매도 만연하다.
지난 15일 접수 마감된 인천 영종하늘도시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분양에는 평균 364대1, 최고 92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홈페이지 접속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마감 시간이 두 차례나 연장됐다.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당첨권은 즉시 거래가 가능하지만 분양받은 가격이나 그보다 낮은 금액에 거래해야 한다. 하지만 신청 전부터 공인중개업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좋은 가격에 당첨권을 사줄 매수자들을 확보했다며 홍보하는 등 불법 거래를 조장하고 있다.
최근 분위기에 대한 경고음도 들린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은 "초저금리에 대한 심리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투자에 뛰어들거나 불법 거래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분위기는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61609205480587&NG3
?.010-7349-5989.
http://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kaps1026&categoryNo=232
"1억원으로 뭐하지?"…투자 바람 '주의보'
"집 사야 돼?" 속 시원히 대답해 줄 사람은 없다. "지금?" 답하긴 더 어렵다. 의식주 가운데 유독 힘들게 느껴지는, 평생 애증의 대상 '집'. 그리고 세상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부동산(나머지 절반은 동산)에 관한 이야기를 다양하게 다루고자 한다. '땅땅' 거리며 살아보자.
'사실상 예금금리 0% 시대.'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한 푼 두 푼 모아봤자 돈이 안 된다는 심리가 사람들을 여기저기 기웃거리게 한다.
"1억원을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까?." 지인들이 자주 하는 질문들이다. 사실 1억원도 작은 돈이 아니다. 매월 200만원씩 꼬박 4년 이상을 모아야 한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에 있어 선택의 폭은 생각보다 좁다.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가 빌딩은 최소 매입 단위가 수십억원대로 대출을 받는다고 해도 일반인들은 접근이 어렵다.
그나마 선택할 수 있는 대상이 오피스텔이다. 오피스텔은 1%대 예금금리보다는 수익률이 좋고 1억원대로 접근 가능한 상품이다. 다만 분양가가 높아지고 공급 물량은 늘고 있어 수익률은 더 낮아질 수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5.62%다. 5월 기준 서울 평균은 5.25%, 강남은 4.97%로 5%를 밑돌았다. 임대료가 매매가격 상승 추세를 따라가지 못한 탓이다.
전문가들은 고가의 신규 분양보다는 역세권에 위치한 기존 오피스텔을 추천했다. 오피스텔은 임대료 수익이 주된 목적인데 매입 비용 부담을 낮추면 그만큼 수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펀드도 투자 대상으로 꼽힌다. 가령 1000억원대의 빌딩을 구입할 때 같이 자금을 대고 나중에 임대료 수입을 배당받는 방식이다. 최근 한 시중은행이 가입자를 모집한 상품은 1억원 이상이면 가입이 가능했다. 예상 투자 수익률은 연평균 7.92%. 매각차익까지 포함하면 11.58%다. 6개월마다 배당을 받는다.
부동산펀드는 운영기간은 통상 5년 전후며 매입 대상은 오피스빌딩, 호텔, 대형마트 등 상품에 따라 다양하다. 오피스빌딩의 경우 건물 매입 가격이 적정한지 여부와 공실률 등을 잘 따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한 부동산개발투자회사 대표는 "펀드의 형태지만 금융상품이 아니다. 본인이 직접 부동산을 산다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직접 주변 임대수익 등을 조사하고 좋은 물건이라는 판단이 서면 가입할 것"을 권했다.
부동산 펀드는 5년 뒤 좋은 가격에 팔면 매각 차익까지 챙길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목돈이 없는 일반인들은 청약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강남 재건축 아파트 등에 쏠림현상이 두드러진다. 전매 제한이 있지만 당첨자 발표와 동시에 웃돈이 붙어 분양권 거래가 되는 불법 전매도 만연하다.
지난 15일 접수 마감된 인천 영종하늘도시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분양에는 평균 364대1, 최고 92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홈페이지 접속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마감 시간이 두 차례나 연장됐다.
점포겸용 단독주택용지 당첨권은 즉시 거래가 가능하지만 분양받은 가격이나 그보다 낮은 금액에 거래해야 한다. 하지만 신청 전부터 공인중개업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좋은 가격에 당첨권을 사줄 매수자들을 확보했다며 홍보하는 등 불법 거래를 조장하고 있다.
최근 분위기에 대한 경고음도 들린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은 "초저금리에 대한 심리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투자에 뛰어들거나 불법 거래를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는 분위기는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61609205480587&NG3
?.010-7349-5989.
http://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kaps1026&categoryNo=232
'^^투자포인트 >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금리 시대, 토지로 돈 몰린다 (0) | 2016.06.27 |
---|---|
수도권 규제 `대못`…수정법 폐지案 발의 (0) | 2016.06.24 |
“한국, 2018년까지 최대 위기 직면 가능성” (0) | 2016.06.15 |
땅콩밭이 '1250억 보물섬'으로…남이섬, 고성장 위한 IPO는 사양 (0) | 2016.06.14 |
한국 국부의 절반 이상이 부동산··· 토지자산 비중 ‘껑충’ (0) | 2016.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