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9.18
@ 대통령 교통복지공약…정부 규제 속 개발예정지 부동산 시세 들썩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교통망, 교육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시세 상승을 부추기는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GTX 노선 조기 완공’, ‘자사고·외고 폐지’ 등이 꼽힌다
최근 정부가 강력한 규제를 내놓으며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 나서고 있지만 수도권광역급행철도(Great train express·이하 GTX) 착공이 가시화되고 있는 서울 근교 및 수도권 지역은 오히려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시세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 등에 따르면 GTX 개발은 수도권 외곽 지하철과 서울 도심 내부 교통망을 연결해 수도권에서 서울 도심까지의 진입 시간을 30분 내로 단축시키려는 목적으로 시작된 사업이다. 지하 40m에서 평균 시속 100km로 달리는 GTX를 통해 서울과 수도권을 한 시간 생활권으로 만들 계획으로 시작됐다.
GTX 개발사업은 지난 2009년 김문수 당시 경기도지사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처음 논의되기 시작했다. 김 지사 당선 이후 사업이 본격화됐고, 2010년 경기도가 제안한 3개 노선의 경제성이 가장 높다는 조사결과가 발표되면서 사업의 윤곽이 하나 둘 드러났다.
이듬해인 2011년 국토교통부가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고시하면서 GTX 건설 계획이 공식화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GTX는 A노선, B노선, C노선 등 총 3개 노선으로 구성된다. 이 중 건설의 진척이 가장 빠른 곳은 SRT(수서발고속철도)와 일부구간 노선을 공유하는 A노선이다.
A노선은 동탄, 용인, 삼성, 서울역, 일산(킨텍스), 파주 등을 거치는 노선으로 총 83.3km 길이다. 이중 삼성부터 동탄까지 구간은 지난 3월 착공한 후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현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삼성부터 파주까지의 구간은 내년 말 착공해 2023년 완공 예정이다.
B노선과 C노선의 경우 정차역이 정해진 이후 현재 구체적인 노선안을 확정하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이다. 기존에 발표된 노선에서 크게 달라질 가능성은 적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B노선은 송도, 여의도, 서울력, 청량리, 별내, 평내호평, 마석 등을 거칠 예정이다. C노선은 금정, 과천, 양재, 삼성, 청량리, 창동, 의정부를 거치는 노선으로 만들어질 계획이다.
GTX A노선 착공 돌입, 정부주도 개발사업 호재…부동산 가격 상승 부채질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GTX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역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세가 들썩이고 있다. 수도권과의 접근성 확보 가능성 때문이다. 문재인정부가 부동산 과열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강력한 규제 정책을 펼치는데도 오히려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현 정부가 GTX 조기완공 의지를 내비치면서 부동산 정책 방향과 다소 어긋난 상황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GTX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는 지역으로 A노선의 용인역, 킨텍스역과 B노선의 송도, C노선의 창동 등을 꼽고 있다. A노선 용인역이 들어설 예정지는 이미 수도권 지하철 분당선 구성역이 위치해 있다. 구성역은 현재 GTX 정차를 위한 따른 확장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주차장을 무인화 하고 확장하기 위한 공사 역시 함께 진행되고 있다.
국토실거래가 조회 시스템에 따르면 구성역에서 제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삼거마을삼성래미안1차 아파트의 경우 2011년 GTX노선 계획이 발표된 이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당시 3억6000만원에 거래되던 전용면적 85㎡의 한 호실은 올해 4억6400만원에 거래됐다. 30% 가까이 상승한 셈이다.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인 지난 4월 같은 평형대의 아파트 가격이 4억2000만원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는 게 인근 부동산 관계자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인근의 연원마을 삼호벽산아파트 역시 2011년 1억9700만원이던 전용면적 59㎡ 규모 호실의 시세가 지난 6월 3억2000만원으로 무려 60% 이상 급등했다. 이곳 역시 지난 3월 시세가 3억450만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규제 대책을 빗겨나간 것으로 분석됐다.
구성역 인근에 위치한 상록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지난 2011년 GTX계획이 발표되고 지난 3월 GTX A노선이 착공에 돌입하자 일대의 아파트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다”며 “최근 들어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아파트 가격이 조정되고 있는 형편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떨어질 줄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A노선의 일산 킨텍스 인근의 아파트 가격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GTX 킨텍스 역은 종합전시장인 킨텍스 제1전시장과 제2전시장 사이에 들어설 예정이다. 킨텍스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의 가격 역시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 인근 부동산 관계자들의 공통된 증언이다. 킨텍스 바로 앞에 위치한 아파트랜드공인중개사 관계자는 “킨텍스 일대의 집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며 “GTX 에정지로 선정된 영향을 무시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킨텍스 바로 앞에 위치한 대영킨텍스 4단지의 아파트 가격의 경우 GTX노선이 발표된 이후 가격이 올랐다. 전용면적 99㎡의 아파트 한 호실은 지난 2011년 3억3000만원에서 올해 초 4억3000만원으로 30% 이상 올랐다. 그 후에도 시세 상승세가 이어져 현재는 4억5500만원까지 오른 상태다.
인근에 위치한 건영킨텍스3단지 아파트도 마찬가지다. 2010년 4억3000만원에 거래됐던 전용면적 101㎡ 호실은 지난해 4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현재 같은 평형의 시세는 약 4억9500만원에 달한다는 게 인근 부동산 관계자의 설명이다.
GTX 착공 전부터 억대 시세차익…문재인정부 부동산 안정 대책과 ‘엇박자’
아직 착공에 돌입하기도 전인 B노선과 C노선 예정지 일대 부동산 시세 역시 벌써부터 들썩이고 있다. B노선의 송도역, C노선의 창동역 인근 등은 노선개발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GTX개발 계획에 따르면 B노선 송도역은 수도권 전철 인천1호선 인천대입구역과 지식정보단지역 인근에 지어질 예정이다. 현재 송도신도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 이곳 지역은 GTX B노선 개발 계획이 발표된 이후 시세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1월 지어진 송도웰카운티1단지 아파트의 경우 완공 당시 4억2500만원이었던 전용면적 85㎡ 규모의 호실이 현재는 4억7500만원으로 올랐다. 불과 1년 새 가격이 11% 넘게 오른 셈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인천 송도의 경우 위치상 서울 등 수도권과의 교통이 상대적으로 불편한 탓에 GTX 건설을 적극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가 상당하다”며 “특히 이곳은 아파트값이 오를만한 여러 요인들 중 GTX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C노선에서는 서울 도봉구 창동 지역이 GTX 건설로 인한 지가 상승 현상이 두드러졌다. 창동 지역의 경우 GTX 개통과 함께 한국교통공사 창동차량기지 일대 재개발 공사가 맞물리면서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창동역 인근에 위치한 동아청솔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 59㎡ 규모 호실의 시세가 2011년 2억3600만원에서 올해 7월 3억6600만원으로 55% 이상 올랐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전인 올해 3월 같은 평형의 실거래가가 3억5000만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꾸준히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창동역 인근 동아상가에 위치한 광명부동산 관계자는 “창동역 일대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다고 표현 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부동산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다”며 “현재는 창동차량기지 개재발이나 GTX개통과 같은 호재들이 몰려 시세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둔화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지만 창동역 일대의 경우 GTX 기대로 인해 오히려 오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동산업계 안팎에서는 단순히 기대감만으로 아직 착공도 하지 않은 GTX 개통 예정지 인근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현상에 대한 우려 섞인 반응이 상당하다. 특히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강력한 규제를 내놓는 동시에 GTX 개발을 앞당기는 결정을 내린 정부의 태도에 일관성이 결여됐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정부는 지난 6월과 8월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를 내놓는 등 지나치게 과열된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이전 정부에서부터 추진된 GTX 개발을 앞당김으로써 부동산 가격 안정화 노력이 사실상 요원해졌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GTX 개발로 인해 수도권 인근 지역으로부터 서울 시내까지의 접근성이 좋아지고 역사 인근에 유동인구가 늘어난다는 점에서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면서도 “하지만 개발 계획을 더욱 앞당겨 놓고 동시에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 시키겠다는 정부의 태도를 보면 ‘이율배반적’이라는 생각을 지우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 초강력 부자규제에 집없는 서민들 설움만 늘었다
文대통령 교통복지공약…정부 규제 속 개발예정지 부동산 시세 들썩
문재인정부는 출범 이후 수차례에 걸쳐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과열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가 목적이다. 특히 강남 지역을 부동산 과열 현상의 근원지로 지목하고 정책 내용 역시 그곳에 부합시켰다. 그런데 정작 정부 부동산 정책의 주 타깃인 강남 지역은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과열 현상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건축 시장을 중심으로 올해 최고 경쟁률을 찍는가 하면 각종 규제가 시행된 이후 잠시나마 주춤했던 아파트값 역시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 떠도는 말로 ‘강남불패’ 현상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타 지역의 피해 사례가 끊이지 않아 논란은 더해지고 있다. 고강도 대출 규제로 자금력이 없는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은 ‘정말로 꿈이 돼 버렸다’는 이야기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부동산업계 안팎에서는 강도 높은 규제 내용을 담은 부동산 정책의 실효성이 의심된다는 여론이 높게 일고 있다.
초강력 규제 비웃는 강남부동산…‘8·2 부동산대책’ 이후에도 청약시장 과열 지속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는 출범 40여일 만인 지난 6월 19일 첫 부동산 정책을 발표했다. 이른바 ‘6·19 부동산대책’이다. 당시 정책은 부동산 과열 지역에 청약, 재건축, 대출규제 등을 선별 적용 하는 맞춤형 규제를 적용하는 내용이 주요 골자였다. 하지만 정부의 의도와는 다르게 과열지역은 더 과열 됐고 대상지역이 아닌 곳까지 시세 상승의 여파가 미쳤다.
‘6·19 부동산대책’이 실패하자 정부는 다시 ‘8·2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다. 당시 정책은 모든 규제들을 총 망라한 종합 부동산 규제 정책의 성격이 짙은 것으로 평가됐다. 서울 전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묶였고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40% 적용 등 금융규제도 강화됐다. 아울러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와 청약규제 강화, 분양권 전매제한 등 재건축 아파트 관련 규제도 생겼다.
‘8·2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서울·수도권 등의 부동산 시장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매수자·매도자 모두 눈치를 보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대부분 지역의 부동산 거래가 급감했다. 부동산 대출 압박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꺾였다. 특히 과열양상을 띄었던 강남 재건축 역시 가격이 지난달까지 하락세를 나타냈다.
주목되는 사실은 하락폭이 크지 않다는 점이었다. 오히려 일부 단지의 경우 시세가 오름세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시간이 흐를수록 시세 상승을 보이는 단지가 하나 둘 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재건축 단지 분양시장을 중심으로 주춤하던 강남 지역 부동산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8·2 부동산대책’ 이후 강남권에서 처음으로 청약 신청을 받은 ‘신반포 센트럴자이’(신반포6차 재건축)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곳은 청약신청 시작 전부터 ‘8·2 부동산대책’ 이후 강남지역 재건축 아파트의 분양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바로미터로 꼽혔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견본주택 앞에는 긴 줄과 떴다방까지 등장했다. ‘신반포센트럴자이’의 견본주택에 다녀왔다는 한 개포동 주민은 “34평대가 14억이 넘는 단지인데도 견본주택 내로 들어가려면 2시간 이상을 기다려야만 했다”며 “나도 청약을 넣긴 했지만 그 정도로 청약 열기가 뜨거울 줄은 몰랐다”고 설명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GS건설이 서초구 잠원동에 짓는 ‘신반포 센트럴자이’는 1순위 청약 결과 평균 168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역으로 추산하면 98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만6472명이 몰린 셈이다. 올해 분양한 단지 중 서울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최고 경쟁률이다.
이후 분양을 실시한 서울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 강남포레스트’(개포시영 재건축)의 경우도 1순위 청약접수 결과 185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총 7544건의 청약이 접수됐다. 특히 평균 경쟁률 41대 1로 전 주택형이 완판 됐다. 중소형 평형인 전용면적 59㎡(약 18평)형은 23가구 모집에 5381명이 몰리면서 234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날 진행된 특별공급 분양(23가구)도 전 평형대가 100% 마감됐다. 서울에서 기관추천·다자녀 등으로 규정된 특별공급 분양이 100% 마감된 것은 ‘신반포 센트럴자이’에 이어 두 번째였다.
반포동 인근 부동산 관계자는 “‘신반포 센트럴자이’의 경우 밤새 줄서서까지 청약신청을 한 사람이 있을 정도로 그 열기가 대단했다”며 “특히 자금 여력을 갖춘 실수요자들의 경우 대출을 빋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8·2부동산 대책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하락세 멈추고 반등…잠실 등 주요지역 상승세 이어가
‘8·2 부동산대책’ 이후 신규 분양 단지들의 흥행이 이어지자 부동산업계 안팎에서는 정부가 오히려 강남 부동산 과열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부활 가능성이 높은 ‘분양가상한제’는 부동산 과열 현상을 부추기는 결정적인 요소로 지목됐다. 수요가 몰리는 상황에서 분양가상한제 시행으로 분양가격이 낮아지면 청약시장 과열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견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이미 서울 강남 일대를 투기지역으로 분류하고 분양보증을 조건으로 분양가 인하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서울 잠원동 ‘신반포센트럴자이’ 아파트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곳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분양보증을 조건으로 분양가 인하를 요구해 3.3㎡당 평균 분양가가 당초 예상보다 400~500만원 가량 적은 4250만원에 책정됐다.
방배동의 S부동산 관계자는 “주변 새 아파트 시세가 3.3㎡당 5500-6000만원 정도인데 이보다 1000만원 가량 낮게 강제로 끌어내린 것이다”며 “만약 ‘신반포 센트럴자이’ 전용면적 59㎡ 규모 호실에 당첨이 되면 3억 원 이상의 시세차익이 시현 가능한 셈이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서울 재건축 아파트도 6주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0.11% 상승했다. 여기에 8.2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가장 먼저 약세를 보였던 강동구 둔촌주공도 하락세가 멈췄다. 강남구 개포주공은 가격 낙폭이 줄어든 영향이 더해졌다.
특히 매도자와 매수자간 치열한 줄다리기 속에서도 최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로부터 50층을 허가 받은 ‘잠실주공 5단지’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곳은 이달 초만 해도 ‘8·2 부동산대책’ 여파에 따른 시세조정의 대표 사례로 꼽힌 단지다.
그러나 부동산 관계자들에 따르면 최근 잠실주공5단지 전용면적 76㎡ 호가는 16억원까지 상승했다. 재건축 심의 통과 직전인 지난 5일 신고된 실거래가 15억원에 비해 1억원 오르 금액이다. 불과 열흘 만에 1억원이 상승한 셈이다. 8·2대책 직전인 7월말 기록한 같은 평형대의 최고 실거래가 15억7000만원도 가뿐히 넘겼다.
인근에 위치한 잠실엘스도 전용 59㎡의 호가는 12억원까지 오르며 지난달 최고 실거래가 11억2000만원보다 8000만원 상승했다. 잠실 리센츠 84㎡ 역시 얼마 전 14억원에 거래됐다. 지난 7월 기록한 최고가와 같은 가격이다. 호가는 이미 고층을 기준으로 14억3000만원까지 치솟은 것으로 알려졌다.
명지대학교 권대중 부동산학과 교수는 “분양가가 인근 시세보다 낮거나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인기 사업장의 경우 앞으로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 투기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부동산 과열 현상을 막기 위한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 과열 현상이 심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정부는 분양가상한제에 대한 실효성 등을 깊이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자규제 표방한 문재인정부 부동산규제, 실상은 서민들 내 집 마련 발목”
문재인정부 부동산규제 정책의 주 타깃인 강남 지역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고 있지만 타 지역의 변화는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 전 지역이 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대출한도 등 금융규제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여윳돈이 부족한 서민들의 경우 서울에 내 집 마련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지적이 제기된 배경이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지금 살고 있는 집을 팔고 월세를 살면서 강남 신규분양 단지 청약신청에 도전하겠다는 사람이 수두룩하다”며 “정부가 대출한도를 집값의 40%까지 막아놨기 때문에 평소 여윳돈이 없는 서민들로서는 이런 방법 외엔 마땅한 선택지가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성수동에 위치한 1등부동산 대표는 “예전에 2억원만 들고 오면 매입할 수 있었던 재개발 단지 물건이 지금은 5억원은 들고 와야 매입할 수 있는 상황이다”며 “매수문의는 많지만 정작 상담 후에는 자금이 부족해 발길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많아지는 추세다”고 설명했다.
성수동 전략정비1구역에 거주하고 있는 박칠영(47) 씨는 “시세차익이 분명한 단지에 서민은 청약조차 넣지 못하는 것이 과연 부동산 가격을 억제하는 대책이 될 수 있나”며 “더군다나 은행에 이자 내고서라도 집을 사는 것은 그 사람들의 선택인데 이를 정부가 규제하는 것은 과한 처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심교언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부동산 시장의 지역별 편차가 크지 않다면 분양가상한제가 가격 안정을 도모하는 데 효과가 있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며 “특히 대기수요가 빽빽하게 몰린 강남권에 적용될 경우 수요를 더욱 증폭시키는 역효과만 낳게 될 것이다”고 진단했다.
이어 “무엇보다 대출 규제가 전반적으로 강화된 시점이어서 강남권 블루칩 단지에는 분양가상한제를 빌미로 고액 자산가가 진입할 수 있는 여력이 더욱 커졌다”며 “일련의 사실로 봤을 때,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겉으로는 부자 규제를 표방하고 있지만 정작 도출되는 결과는 서민 규제의 성격에 더욱 가까워 보인다”고 지적했다.
'^^투자물건 > ^^투자처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 있어요?" 그린벨트 해제 소식에 수도권 들썩 (0) | 2018.01.04 |
---|---|
섬테크족이 늘어난다 (0) | 2017.10.09 |
일산신도시 중심상권 정발산동 제치고, 신흥 강자로 떠오른 백석동 (0) | 2017.09.03 |
"논바닥 뿐인 이곳, 5년내 '서북의 판교'될 것" (0) | 2017.08.23 |
2017년 국가 발전을 위한 전략과제 중 고양시 관련 캡쳐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