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공간이야기/노후자금이야기

‘적정 노후생활비’는 월 145만원, 그러나 국민연금은 20년 꽉 채워도 88만원

by SL. 2017. 2. 1.

2017-01-31

 

50대 이상 "적정 노후생활비, 부부 237만·개인 145만"

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결과…각각 5%·2%↑

 

 

50대 이상 연령층들이 생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부부 월 237만원, 개인 월 145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은 31일 2015년 4~9월 50세 이상 중고령자 총 4816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6차연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는 2년마다 이뤄진다.

적정 노후필요생활비 부부 236만9000원은 5차연도 조사 때보다 12만원(5.3%), 개인 145만3000원은 3만2000원(2.3%) 높아진 수준이다. 최소생활비는 부부와 개인 각각 174만1000원, 104만원이었다.

적정생활비는 표준적인 생활을 하는 데 흡족한 비용, 최소생활비는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노년을 가정할 때 최저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의미한다.

 

 

개인적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노후 대책은 경제적 문제(53.3%)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나이가 듦에 따라 독립된 경제력이 점점 없어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50대는 62.7%가 경제력이 있다고 응답했으나 그 비율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낮아져 80세 이상은 23.3%만이 경제력을 갖추고 있었다. 은퇴 후 나빠진 점으로 경제적 어려움(46.3%)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다.

공적연금 수급자는 64,2%가, 비수급자는 32.2%가 경제력이 있다고 답했다. 공적연금 수급으로 인한 노후 소득 확보가 중고령자의 독립된 경제력 인식 여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남성은 노후를 준비해야 하는 주체로 본인(81.3%)을, 여성은 남편(39.1%) 혹은 본인(40.0%)으로 응답했다. 소득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이 노후를 준비해야 한다는 인식을 읽을 수 있다.

또 고령자일수록 노후 대책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기대했다. 50대는 노후 대책 주체로 본인(63.4%)과 배우자(25.0%)를 꼽았고, 정부라고 응답한 비율은 9.6%에 불과했다. 반면 80대 이상은 4명 중 1명꼴인 25.3%가 노후 준비를 정부에 기댔다.

사회 전반적으로 중요한 노후 대책은 건강·의료 문제(44.3%)라고 답했다. 실제로 50대 이상의 60.8%가 의사로부터 진단받고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치료받고 있는 만성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32.1%였던 만성질환자는 60대 60.7%로 급증해 80대에는 76.5%에 달해 의료비 지출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후가 시작하는 연령은 평균 67세 이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53.7%), 근로활동을 중단하는 시기(28.1%)를 노후가 시작되는 사건으로 보고 있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확보해 급여 수준을 높인다면 노후생활비 마련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6년 10월 말 현재 국민연금 가입기간 20년 이상인 국민연금 수급자의 평균 급여액은 88만원이다. 부부가 모두 가입기간 20년 이상의 수급자라면 부부의 국민연금 급여로 부부 최소필요생활비를 충족해 노후준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의미다.

연구원은 "저소득층 등은 국민연금에 가입할 필요가 있으며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보험료 추후납부, 구직자 실업크레딧 등 국민연금 가입지원 제도를 통해 가입기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news1.kr/articles/?2899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