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일반가구 증가, 소득 증가, 주택 멸실 등을 반영해 수요를 측정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일반가구 29만가구씩 늘고 주택 95000가구씩 없어졌다. 39만가구가 기본적으로 필요한 주택 수요다. 여기에 경기·집값 전망 등이 작용해 수요는 더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2년까지 주택 수요를 평균 39만5000가구로 잡고 수요 감소나 증가에 따른 변동 폭을 7만 가구 정도로 뒀다. 현재 시점에서 입주물량을 예측할 수 있는 2020년까지 3년간 정부가 계획한 수요는 연평균 39만5000가구, 총 118만가구다.
다음으로 동남권(부산·울산·경남, 87.5%), 호남권(광주·전북·전남, 71.8%), 대경권(대구·경북, 52.3%), 수도권(서울·인천·경기, 51.2%), 충청권(대전·세종·충북·충남, 17.6%) 등 순이다. 최대 수요와 비교하면 권역별로 5(충청권)~115%(강원) 넘친다. 수요보다 많은 공급은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미 지방에 많은 주택이 보급돼 있기 때문이다. 2016년 기준으로 주택보급률(일반가구 수 대비 주택 수)이 수도권은 98%로 아직 주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데 비해 지방은 102.6%로 주택이 일반가구보다 많다.
지방에서도 지역 따라 보급률 차이가 난다. 강원권은 99%이고 대경권이 가장 높은 108.5%, 호남권 107.8%, 충청권 107.5%, 동남권 104.8%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68.7%)와 인천(50%)에 주로 몰린다. 경기도 남부지역인 평택·오산·안성·화성에 특히 많다. 이 지역들에 올해부터 2020년까지 준공하는 연평균 아파트가 3만6000여가구로 2013~2017년 5년 평균(1만9000여가구)의 두 배에 가깝다. 올해 들어 이곳들이 수도권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내렸다. 지난 6월까지 경기도 내 아파트값 변동률 순위에서 안성(-5.0%), 오산(-4.0%), 평택(-3.0%)이 맨 아래를 차지했다.
그런데 아파트값은 2016년 중반 하락세로 돌아서 3년째 약세다. 전셋값도 마찬가지다. 2016년엔 울산 아파트 준공물량이 3000여가구로 이례적으로 적은 해였다. 지역경제가 흔들리며 주택 구매력이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방은 지역경제 침체와 주택 준공물량 급증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셈이다. 이에 반해 서울은 경제력이 지방보다 상대적으로 낫고 2016년 기준 주택보급률이 96.3%로 아직 주택이 많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앞으로 준공물량 급증이 미치는 충격이 덜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중앙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180731033601061
'^^전국의땅! > 집값의현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디스 "한국, 내년에 집 사기 더 어려워진다" (0) | 2018.11.30 |
---|---|
한달새 수천만원 하락… 분당까지 내려온 '집값 한파' (0) | 2018.11.29 |
“미분양 대란 온다”…주택시장 경고등 (0) | 2018.06.22 |
"1억원대 전셋집 수두룩"…입주폭탄 지역, 집주인 속타도 세입자는 '방긋' (0) | 2018.06.19 |
‘입주 폭탄’ 또 맞은 용인·동탄..경기 남부권 집값 어쩌나 (0) | 201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