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공간이야기/부자들이야기

세계의 富

by SL. 2019. 5. 3.

③ 돈 있으면 떠난다…‘행복한 국가’로 향하는 부자들


지난해 10만 8000여명 백만장자 해외 이주…전년대비 1만 3000여명 늘어
자산가 유입 1위 국가는 ‘호주’…치안과 교육, 복지제도 등이 주요 원인


‘1조 원’ 이상 부호 전세계 2140명



고국을 떠나 외국으로 이주하는 ‘부자’들이 늘고 있다. 더 안전하고, 교육 수준이 높으며 사회 복지 시스템이 잘 갖춰진 새로운 터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다. 자국에서 부과하는 높은 세금도 부자들의 해외이민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자산가들이 일부 선진국으로 몰리게 되는 현상은 특정 국가로의 ‘부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동시에 부자들의 이탈은 국가의 세수를 감소시킨다. 덕분에 ‘부(富)의 이동’은 국제 사회가 주목해야하는 또 하나의 이슈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자산 리서치업체 뉴월드웰스(New World Wealth, 이하 NWW)와 아프라시아(Afrasia) 은행이 이달 내놓은 ‘부의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타국으로 이주한 백만장자(한화 약 11억 6000억 원 이상의 자산가)는 약 10만 8000여명으로, 2017년 9만 5000명 대비 약 1만 3000여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부자들의 이민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NWW-아프라시아은행 ‘부의 이동보고서]


지난해 부자들이 가장 많이 이주한 국가는 호주로, 1만 2000명의 백만장자들이 호주에 정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1만 명의 부자들이 정착한 미국이 2위에 올랐고 캐나다와 스위스가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부자들의 이탈이 가장 많았던 국가는 중국으로, 중국 내 백만장자 중 2%(1만 5000명)이 타국으로 이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2위, 3위에는 러시아와 인도가 이름을 올렸고 터키와 프랑스, 영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도 상위권에 포함됐다.

부자들이 이민을 결정하는 데는 치안과 교육, 복지 제도, 그리고 낮은 세율 등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호주의 경우 범죄율이 낮고 건강보험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으며, 상속세가 없는 대표적인 국가다.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라는 점도 이민 장벽을 낮춘 요인 중 하나로 거론된다.

부자들의 유입이 많았던 국가들이 대부분 ‘행복지수’가 높은 대표적인 국가들이라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최근 자문기구 ‘지속가능한 개발 솔루션 네트워크(SDSN)가 발표한 ‘세계 행복보고서 2019’에서 스위스와 뉴질랜드, 캐나다는 행복지수 기준 상위 10개국에 포함됐다. 세계행복보고서는 세계 156개국에 사는 시민에게 그들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평가토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복 지수를 측정한다.

이와함께 보고서는 최근 미국의 트럼프 정부가 촉발시킨 반(反) 이민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자산가들의 유입은 국가의 부담 증가와 크게 관련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했다.

보고서는 “이민의 증가가 국가 전체의 복지 수준을 낮추고, 저임금을 촉발시킬 수 있다는 우려는 자산가들에게 해당되지 않는 우려”라면서 “실제 자산가들은 이민 후에도 자녀들을 사립학교에 진학시키는 등 국가의 지원을 받지 않고 생활한다”고 밝혔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503000459&ACE_SEARCH=1



② ‘초(超) 부자’ 시대, 부자가 되려면 얼마나 있어야 할까


세계 금융계, “2500만 달러 이상 자산가 부자로 분류”
2018년 한해 억만장자 자산 9000억 달러 증가…부의 편중화 심화


CS “상위 10% 부자 기준 약 9만 3000만 달러” 분석



오늘날 ‘부자’의 기준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해 금융 시장이 내놓은 답은 꽤 명쾌하다. 지난해 5월 블룸버그 통신은 민간 투자은행들이 ‘부자 고객’을 분류하는 기준을 활용, “오늘날 개인이 부자로 분류되는 기준은 자산 2500만 달러(한화 약 290억 원)”라고 전했다. 통신은 지난 20년 간 전세계의 부가 빠르게 증가했으며, 바야흐로 세계가 ‘초(超) 부자’ 시대를 맞고 있다고 밝혔다. 



부자의 기준은 여전히 논쟁거리다. 하지만 세계가 ‘초부자 시대’를 맞고 있다는 주장은 최근 전세계 개인 자산의 증가, 특히 억대 부호들의 자산 증가를 보여주는 각종 통계들이 발표되면서 더욱 힘을 받는 분위기다. 실제 최근 자산 리서치업체 뉴월드웰스(New World Wealth, 이하 NWW)와 아프라시아(Afrasia) 은행이 발표한 ‘부의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전세계 개인이 보유한 자산의 규모는 2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일각에서는 부의 증가가 이미 막대한 자산을 갖고 있는 부유층에게만 쏠려있으며, 결국 부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은 올해 초 다보스포럼에서 발표한 ‘개인의 부와 공공의 안녕(Public good and Private Wealth)’ 보고서를 통해 억만장자들이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더 큰 부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것이 부의 집중도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억만장자들의 자산은 9000억 달러가 증가했다. 매일 25억 달러의 부가 쌓인 셈이다.

문제는 빈곤층의 자산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전세계 극빈층의 재산은 11% 감소했다. 옥스팜은 “지난 해에 세계 상위 26명의 부호들은 38억 명의 빈곤층이 보유한 자산과 동일한 규모의 자산을 소유했다”면서 “1위 부호인 제프 베조스 아마존 CEO의 재산의 1%는 1억 5000만 명 에티포피아 인들의 전체 의료예산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편, ‘초부자’가 아닌 세계 상위 10%의 부자가 되기 위한 기준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CS)가 지난해 말 내놓은 ‘2018년 세계 부호 보고서’에 따르면 대출을 제외한 순자산 기준 9만 3170달러(한화 약 1억원 900만 원) 이상을 소유하고 있으면 상위 10% 부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개인 순자산 기준으로 10억 달러(한화 약 1조 원) 이상 소유한 부호의 수는 214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억 달러 이상 자산가는 2만 5000명, 1000만 달러 이상 보유한 사람은 56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세계에서 100만 달러 이상 자산을 가진 이들의 수는 1400만명이었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503000458&ACE_SEARCH=1&ACE_SEARCH=


① 한국, 지난 10년 간 63% 부유해져…전세계 부의 증가 빨라진다


NWW-아프라시아 은행 ‘부의 이동 보고서’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가 미래 세계의 부 성장 견인


잘 사는 나라 1위는 미국…국민 1인 기준 자산 가장 많은 나라는 모나코




전세계인이 보유한 자산의 총 규모가 지난 10년 간 26% 증가했으며, 향후 10년 동안 ‘세계의 부(wealth)는 이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중국과 인도, 베트남을 필두로한 아시아권 국가가 부의 증가를 견인할 것이란 관측이다.

자산 리서치업체 뉴월드웰스(New World Wealth, 이하 NWW)와 아프라시아(Afrasia) 은행이 4월 발간한 ‘부의 이동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12월 기준 전세계 개인 자산의 총합은 204조 달러(한화 약 23경 6476조 원)에 달한다. 지난 2008년(161조 달러)와 비교했을 때 약 40조 달러(한화 약 4경 6500조 원) 증가한 규모다.

NWW가 발표한 전세계 부의 규모는 현금과 부동산, 금융자산 등 개인이 소유한 순자산을 기준으로 집계됐다. 흔히 경제규모의 바로미터가 되는 국내총생산(GDP)의 경우 국가로 귀속되는 부분도 많은 데다, 이미 보유한 자산과 자본 시장의 변화 등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지구 상에 존재하는 부의 규모는 더 빠르게 증가, 10년 후인 오는 2028년에는 지금보다 46% 증가한 291조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보고서는 “다음 10년 동안 세계의 부는 아시아의 주도로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면서 베트남과, 인도, 스리랑카, 중국의 성장에 주목했다. 특히 IT와 의료, 금융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통해 베트남과 인도의 부는 10년 동안 각각 200%, 180%나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다.

아시아권 국가들이 앞서 지난 10년 동안에도 단연 돋보이는 부의 성장을 이뤄왔다. 2008년 이래 중국 내 부의 규모는 130% 증가, 전세계 나라 중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다. 이외에도 인도(96%),스리랑카(94%), 베트남(94%), 인도네시아(71%) 등이 순위권에 올랐다. 한국이 같은 기간 63%의 부의 성장을 이루며 10위에 오른 것도 눈에 띈다.

보고서는 “한국을 비롯해 홍콩이나 호주 등 이미 높은 임금이 제공되는 나라에게 부의 성장이 빠르게 이뤄졌다는 점은 인상적이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가 부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란 전망은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의 빠른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는 전세계 경제계의 분위기와 맥을 같이 한다.

지난달 말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아시아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유럽과 미국에 이어 아시아가 세계 경제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내년인 2020년이 되면 아시아의 경제는 19세기 이후 처음으로 다른 나라들의 경제 규모를 합한 것보다 클 것이란 분석이다.

UN 역시 내년이 되면 세계 중산층의 절반이 아시아에서 나올 것이며, 빠른 경제 성장과 더불어서 소비자들의 구매력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오늘날 전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는 지난해 말 기준 총 60조 7070억 달러를 보유한 미국이었다. 2위에는 23조 563억 달러를 가진 중국이 올랐다. 그 외 상위 10위 권 내에는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국들이 대거 포함됐다.

다만 국가별 인구를 고려, 국민 1인 기준 가장 잘 사는 국가는 모나코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모나코 국민이 보유한 평균 자산 규모는 211만 4000달러(한화 약 24억 5800만원)에 달했다. 리히텐슈타인의 국민들은 평균 78만 6000달러를 보유, 모나코에 이어 두 번째로 부유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스위스와 룩셈부르크, 호주, 노르웨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90503000457&ACE_SEARCH=1&ACE_SEARCH=1&ACE_SEARC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