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19
1인가구 주류, 6070 재편중, / 규모도 ‘열집 중 세집’으로
국토연구원 세미나서 발표
현재 ‘나혼자 사는’ 2030 상당수가 그대로 ‘나혼자 늙어간다’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2045년에는 나홀로 가구 상당수가 6070세대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지난 17일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변화의 시기에 대응한 주택정책’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ㆍ30대에 치중한 1인 가구는 점차 60ㆍ70대로 재편 중이다. 특히 노년층(65~74세)은 향후 두 배 정도 늘어나고, 고령층(75세 이상)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1인 가구 비중은 1985년 6.9%에서 2015년 27.2%로 급증한데 이어 2045년까지 36.3%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1인 가구는 주로 보증금이 있는 월세 거주자가 많았다. 또 단독주택에 집중돼 주거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인가구가 청년ㆍ중년ㆍ장년에 이르기까지 아파트 거주 비율이 높은 것과 대비됐다.
주거비는 중년(35~49세) 1인 가구의 지출이 월평균 40만5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청년이 39만5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또 젊을수록 2년 내 주거이동률이 높고 평균 거주기간이 짧았다. 실제 청년층 10가구 중 8가구(82.6%)가 2년 내 집을 옮겼고, 평균 거주기간은 1.2년에 불과했다.
연령대별 1인 가구 정책의 쏠림이 과제로 지목됐다. 예컨대 공공임대주택 입주 대상자는 가점에 따른 우선순위가 결정되는데, 가구원수가 많고 고령일수록 가점이 높아지는 구조다.
주거급여 수급자 중 1인 가구 비중은 전체의 68%에 달했다. 하지만 1인 가구는 노년과 고령층에 수혜가 집중돼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1인 가구 정책에 대한 요구도 연령대별로 달랐다. 청년은 전세자금대출, 중년은 구입자금 대출, 장년 이후는 공공임대에 대한 목소리가 컸다. 다인가구가 주로 구입자금 대출과 노년층 개보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과 달리 세밀한 지원방안이 필요한 이유다.
박 연구원은 “청년층 주거여건 개선과 주거부담 완화를 위한 정책과 함께 향후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령층 1인 가구에 대한 지원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중장년층 지원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태”라며 “강한 가구주라는 전통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이들에 대한 주거지원 대상 발굴과 정밀한 정책 대응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헤럴드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180518114401106
'^^공간이야기 > 생각해보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8만원 vs 1015만원… 소득격차 역대 최악 (0) | 2018.05.25 |
---|---|
부채 늪에 빠진 미혼 직장인, 신용카드 할부금 먼저 상환하라 (0) | 2018.05.21 |
"두채로 쪼개 월세 수입"…신도시 중대형의 재발견 (0) | 2018.05.15 |
99세에 쿠데타 일으킨 고구려의 '명림답부' 아시나요 (0) | 2018.05.13 |
토지공개념 (0) | 2018.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