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iF you don't act, nothing changes.
^^공간이야기/독도는우리땅!

‘독도는 우리땅’ 조선 정조도 알고 있었다

by SL. 2019. 12. 11.

영토비 건립 건의 사료 발견, 일본의 ‘무주지’ 논리 반박


조선 정조 때 독도에 영토비를 세우자고 건의한 내용이 실린 일성록. 경북도 제공



조선 정조 때 독도에 영토비를 세우자고 건의한 내용이 실린 승정원일기. 경북도 제공



경북도독도사료연구회가 조선 정조 때 독도에 영토비를 건립하자는 건의가 있었다는 사료를 찾았다.


이는 ‘반일 종족주의’ 저자 이영훈 전 서울대교수와 일본인 학자들이 독도는 무주지였고, 조선왕조는 독도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했다는 주장을 전면 반박하는 하는 내용이어서 주목을 끈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독도사료연구회는 정조 때 예조정랑(정5품) 이복휴(1729∼1800)가 독도에 영토비를 세우자고 건의한 기사를 발견했다.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의 정조 17년(1793년) 10월1일자 기사에는 우산도를 울릉외도(蔚陵外島)라 칭했으며, 이복휴가 우산도에 영토비를 세워 우리땅임을 증명하자고 건의했다는 내용이 기록됐다.


이복휴는 ‘신이 본조(예조)의 등록을 살펴보니, 울릉외도는 그 이름이 송도로 바로 옛날의 우산국입니다. 신라 지증왕 때 이사부가 나무사자로 섬사람들을 겁주어 항복을 받았습니다. 지금 만일 송도에 비를 세워 이사부의 옛 자취를 기술한다면 그 섬이 우리나라 땅임을 입증할 수 있을 것입니다’고 건의했다.


연구회 유미림 박사는 “이복휴가 말한 울릉외도는 오늘날의 독도를 가르킨다”고 했다. 울릉외도라는 명칭은 이복휴에 와서 처음 등장하는데, 우산도 보다 울릉도의 속도임을 잘 드러낸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정조는 영토비 건립제안을 수용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수토제가 정착돼 울릉도 및 속도에 대한 영유권이 확립돼 있었다고 인식한 결과라는 주장이다.


유 박사는 발견한 사료의 의미에 대해 △울릉외도라 칭해서 독도가 울릉도의 부속도서임을 분명히 드러냈으며,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을 예상하고 대응책을 강구하려 한 것이며 △조선의 관료가 영유권 확립을 구상한 것은 조선정부가 독도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었던 사례로 평가했다.


경북도독도사료연구회는 올해 조선왕조실록, 증정원일기, 일성록, 비변사등록 등에서 울릉도 독도 기사를 발췌 번역해 경북도에 제출할 예정이다


http://m.hankookilbo.com/News/Read/201912101001786124?did=PA&dtype=3&dtypecode=3597&prnewsid=&backAd=1